먼저 검증하고 싶은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주민등록번호는 13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지고 6자리-7자리로 하이픈을 넣어서 표시합니다. 예시로 가상의 주민번호로 830422-1185600이라는 번호를 생각해보겠습니다. 아기공룡 둘리의 주민번호입니다.
처음 6자리 부분 830422 부분은 잘 알려져있듯이 생년월일 부분입니다. 둘리의 경우에는 1983년 4월 22일이 되겠네요.
다음 1자리 부분 1 부분은 성별을 나타냅니다. 둘리는 남성이 되겠습니다.
다음 4자리 부분 1856 부분은 출생등록지의 고유 번호입니다. 앞의 두 숫자는 출생등록지에 해당하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유 번호이고, 뒤의 두 숫자는 읍·면·동주민센터 고유 번호입니다
다음 1자리 부분 0 부분은 일련번호로, 해당 일자에 주민센터에서 출생신고를 한 순서입니다. 둘리의 경우에는 0인데, 원래대로라면 1부터 시작해야하는 숫자입니다.
마지막 1자리 부분 0 부분은 검증번호로, 앞의 숫자들로 결정되는 숫자입니다. 다음 규칙을 따라 만들어집니다. 둘리의 주민번호의 경우에는 검증번호를 계산해보면 1이 되어야 하는데 0이기 때문에 규칙에 맞지 않습니다.
앞자리 수부터 A, B, C, ..., L이라고 하고, 마지막 검증번호를 X라고 했을 때, 다음 규칙으로 결정됩니다.
X = (11−(2A+3B+4C+5D+6E+7F+8G+9H+2I+3J+4K+5L) mod 11) mod 10
2020년 10월부터는 주민등록번호가 개편되어서, 뒤의 7자리 숫자는 성별 구분 숫자를 제외하고는 임의의 숫자를 부여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그러므로 2020년 10월 이후 등록자부터는 뒤의 숫자가 출생등록지번호나 일련번호, 검증번호 등을 의미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외국인등록번호 (또는 국내거소신고번호)의 경우에도, 주민등록번호와 비슷하게 첫 6자리와 1자리는 생년월일과 성별을 나타냅니다.
그 이후의 2자리는 등록기관의 번호, 이후의 2자리는 일련번호, 그리고 그 다음 1자리는 신분 식별 구분자(7: 외국국적동포, 8: 재외국민, 9: 외국인)을 나타냅니다.
마지막 1자리 수는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규칙으로 결정되는 검증번호입니다.
2012년 6월 1일부터는 위의 번호 부여 규칙이 개정되어서 신분 식별 구분자 1자리가 사라지고 일련번호가 3자리로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규칙에 맞는 주민등록번호라고 해서, 해당 주민번호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장해주지는 않습니다.